Marketing

릴레잇(Relate) vs. 스티비(Stibee): 이메일 마케팅 뉴스레터 툴 비교 분석

릴레잇(Relate)의 이메일 마케팅 뉴스레터 툴이 스티비보다 더 좋은 이유

Christopher Chae
· 14 min read
Send by email

이메일은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 많은 기업과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이메일 마케팅 도구를 찾고 있는 가운데, 국내 서비스인 스티비(Stibee)와 새롭게 등장한 릴레잇(Relate)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서비스의 핵심 차이점과 장단점을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비교 분석 항목

  1. 사용성 및 이메일 작성경험
  2. 구독자 베이스 관리 (CRM)
  3. 이메일 퍼포먼스(이메일 전달률)
  4. 안전성 및 보안
  5. 비용
  6. 협업 기능
  7. 고객지원
  8. 스티비 vs. 릴레잇 상세 비교 차트
  9. 결론: 과연 어떤 도구가 적합할까요?

1/ 사용성 및 이메일 작성 경험

릴레잇(Relate)과 스티비를 비교했을 때 가장 돋보이는 차이점은 바로 이메일을 작성하는 경험 그 자체입니다.

Relate의 마크다운 기반 이메일 에디터

릴레잇은 노션에서 글을 쓰듯 이메일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반면, 스티비의 경우 드래그&드롭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포맷의 제약이 있습니다.

0:00
/0:15

스티비의 드래그&드롭 에디터

고객 및 구독자에게 보내는 이메일을 쓸 때, 여러가지 포맷이나 규격 등 체크해야 하는 것들이 참 많아서 귀찮았다면, 릴레잇은 정말 편지를 쓰듯 그저 쓰기만 하면, 예쁘고 심플한 이메일을 빠르게 만들어 보낼 수 있습니다.

단, 이메일 템플릿 기능은 현재 릴레잇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템플릿을 활용하고자 하는 분은 스티비를, 미리 만들어진 템플릿 대신 깔끔한 이메일을 보내고자 하는 분은 릴레잇을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2/ 구독자 베이스 관리 (CRM)

구독자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목적이 무엇인가요? 사용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고객, 뉴스레터 구독자,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를 쌓아가기 위함에 목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메일을 그저 이메일만 보내기만 한다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요? 이메일을 관계관리 수단 중 하나일 뿐, 그 자체가 될 수는 없습니다.

스티비는 주소록 이상으로 CRM을 할 수 없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릴레잇(Relate)에서는 단순한 구독자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기록하는 것 이상으로 노트를 쓸 수도 있고, 구독자와 주고 받은 모든 이메일 히스토리를 연동해서 고객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B2B의 경우 영업 기회로 전환하여 파이프라인 추적도 가능합니다.

3/ 이메일 퍼포먼스 (이메일 전달률)

스티비는 기능적으로는 커스텀 도메인이 없이도 보낼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이는 B2B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이메일 수신자는 신뢰하는 발신자로부터 받은 이메일을 열어보게 되어 있습니다.

Relate내에서 관리하고 확인할 수 있는 DNS 세팅 기능

릴레잇(Relate)은 이메일 전달률(Email Deliverability)을 최우선순위로 지원합니다. SPF, DKIM, DMARC, MX 등 복잡하고 어려운 도메인 레코드 셋팅은 Relate이 알아서 자동으로 관리합니다.

또한 릴레잇(Relate)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이메일 대량발송 서버인 SES 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 이메일 표준에 맞춰 모든 이메일 발송자는 도메인 레코드 세팅을 통해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메일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티비 역시 도메인 레코드 세팅 (SPF, DKIM, DMARC)을 지원하지만, 설정 없이도 보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2024년 2월부터 구글과 야후 등에서 SPF, DKIM, DMARC 세팅을 하지 않은이메일을 일 5,000개 이상을 보내는 대량발송자는 스팸처리를 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4/ 안정성 및 보안

릴레잇(Relate)은 국제 IT 보안 감사 프레임워크인 SOC2 Type II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있고(2025년 하반기 마무리 예상), 이미 SOC2 Type II에 상응하는 구글(Google)의 보안 인증 프레임워크인 CASA Tier II 인증을 2년째 성공적으로 받았습니다. Relate의 보안 현황은 Trust Center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비의 경우, 2025년 1월 현재 스티비의 페이지에서 SOC2, ISO27001 등의 보안 프레임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5/ 비용

스티비와 릴레잇은 둘다 구독자 수 기준으로 무료 플랜을 포함한 요금제를 책정하고 있지만, “구독자”를 정의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스티비는 보유하고 있는 모든 구독자 수를 집계하여 전체 구독자 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내가 1,000명의 구독자가 있는데 100명에게만 이메일을 보내더라도 1,000명 분의 요금제를 지불해야 합니다.
  • 릴레잇은 실제로 이메일을 발송한 대상의 수를 과금대상 구독자 수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내가 1,000명의 구독자가 있더라도 100명에게만 이메일을 보냈다면 , 100명 분의 요금제만 내면 됩니다 (무료).

스티비 vs. 릴레잇 요금제 비교 분석

먼저, 스티비의 요금제를 살펴봅시다.

Image
스티비의 요금제

스티비에서는 앞서서 언급하였듯, 내가 이메일 보내지 않더라도 주소록에 1,000명이 들어 있으면 1,000명 분의 요금제를 지불해야 합니다. 추가로는 기능상의 제약도 ‘스타터(무료)’, ‘스탠다드’, ‘프로’ 등의 티어로 구분되어 있어 심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 비싼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Relate의 요금제를 살펴봅시다. 릴레잇의 경우엔, Relate 브랜딩 제거를 제외한 모든 기능을 구독자 수와 상관없이 무료 플랜부터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능상의 제약 없이 월 1,000명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죠. 무료 플랜의 경우, 스티비는 이메일 발송을 월 2회로 제한하고 있지만, 릴레잇은 이메일 발송을 월 1,000개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Relate 가격플랜

단순 1:1 비교는 힘들지만, 대략적으로 구독자 수가 월 1,000명 이하라고 가정했을 때, 릴레잇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스티비는 월 27,000원(스탠다드) 또는 월 57,000원(프로)을 내야 합니다. 릴레잇의 경우 월 1,000명을 넘기면 월 $49로 모든 기능을 티어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팀 협업

스티비의 경우 여러 명이서 함께 캠페인을 작성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5,000명의 구독자를 관리하는 기준에서 스탠다드(월39,000원) 플랜에서는 최대 3명만 스티비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4명부터는 프로(월79,000원)플랜을 구매해야 합니다.

Relate에서 고객별로 협업하는 모습

릴레잇의 경우 무제한으로 팀원을 초대해서 협업할 수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추가 비용 지불 없이 CRM 기능들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리드를 수집하는 Form, 미팅을 스케줄하는 캘린더, 고객히스토리를 관리하는 CRM, 백서/제안서 등을 공유하는 Docs 를 전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죠.

고객사례: CLIWANT
💡
AI 기반의 매출을 올려주는 입찰 분석 SaaS 클라이원트 팀은 Relate 을 통해 인바운드 리드 수집, 이메일 마케팅, 미팅 스케줄, CRM, 제안서/소개서 다운로드 Flow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7/ 고객지원

Relate 팀은 미국과 한국에 모두 고객지원 팀이 있어서 하루 24시간을 커버하는 고객지원 응대시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Relate 팀의 도움이 필요하실 때, 99%의 경우 최대 한시간이내로 고객분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스티비를 사용하신 모든 유저분들께 무료로 이관(마이그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료 마이그레이션에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구독자 리스트 이관 (CSV 엑스포트 / 임포트)
  2. 구독자 리스트내 데이터 (이름, 이메일 주소, 조직명 등) 정확도 높이는 작업 (데이터 인리치먼트)
  3. 자동으로 보내지던 이메일 워크플로우 세팅
  4. 그외 Relate 내 기능 세팅

8/ 스티비 vs. 릴레잇 상세 비교 차트

릴레잇(Relate) 스티비
비용 무료 플랜 제공 / 월 1,000명 & 이메일 1,000개까지 무료
- 유료 플랜 월 $49부터 (약 71,000원) (월 5,000명까지)
- 실제 이메일을 받는 구독자 수에만 과금하는 형태
- 브랜딩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가장 저렴한 요금제부터 사용 가능
무료 플랜 제공 / 전체 500명, 월 2회까지 무료
- 유료 플랜 월 79,000원 (프로 플랜, 구독자 5,000명 기준)
- 주소록내 모든 연락처 수에 대해 과금하는 형태
- 심화 기능 사용시 프로 플랜 필요
안전성 및 보안 ✅ 국제 보안 표준 프레임워크 SOC 2 Type II 인증 진행 중
✅ 구글의 보안 인증 프레임워크인 CASA Tier 2 인증 완료
❌ 보안 프레임워크 인증 사례 없음
이메일 전달률(Deliverability) ✅ Yes, 도메인 레코드 세팅 지원 및 AWS SES 서버 사용 ⚠️ 도메인 레코드 세팅 지원 하지만 스팸 사례 다수 확인
좋은 이메일 작성 경험 ✅ Yes, 노션과 동일한 마크다운 기반 ❌ No, 드래그&드롭으로 이메일 작성이 불편/제약 있음
활용 사례 1. 심플하고 깔끔한 이메일
2. 뉴스레터 (1-2단 가로 분리 지원)
3. 이메일 시퀀스
이미지 기반의 이메일 (프로모션 이메일)에 적합
재피어 등 연동 지원 ✅ Yes, 재피어(Zapier) 지원 및 구글/아웃룩 이메일 히스토리 연동 ❌ No
팀 협업 기능 ✅ Yes, 무제한 게스트 초대 가능
✅ 댓글 & 멘션태그 기능
❌ No, 유료 플랜 3명까지 초대 가능
리드수집용 웹폼(Form) ✅ Yes, 웹폼으로 구독자 이메일 캡쳐 가능 ❌ No, 전체 페이지만 지원
미팅 캘린더 ✅ Yes, 미팅을 스케줄할 수 있는 캘린더 ❌ No, 지원하지 않음
전자책, 소개서 등
PDF 공유/다운로드 기능
✅ Yes ❌ No
세일즈 CRM 및 고객데이터 관리 기능 ✅ Yes, 세일즈로 확장 가능 및 고객데이터 통합 가능 ❌ No, 주소록만 지원

9/ 결론: 과연 어떤 도구가 나에게 적합할까요?

둘다 좋은 툴이나, 목적과 상황에 따라 조금 더 적합한 도구가 있습니다. 아래 포인트로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릴레잇(Relate)이 적합한 경우:

  • 자유로운 이메일 작성과 노션과 같은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사용자
  • CRM 기능이 필요한 B2B 기업
  • 팀 협업이 필요한 기업
  • 보안과 안정성이 중요한 기업 및 크리에이터
  • 한국어 지원이 필요 없거나 크롬 자동 번역 플러그인으로 해결이 가능한 경우

스티비(Stibee)가 적합한 경우:

  • 드래그&드롭 방식의 템플릿 기반 이메일 작성을 선호하는 사용자
  • 템플릿 기반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경우
  • 자체 도메인이 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일반 사용자
  • 한국어 지원이 필수인 경우

Relate Email을 지금 바로 사용해보세요.

Relate Email은 스티비의 완벽한 대체재 입니다. Relate Email에서 동일하게 이메일 마케팅, 뉴스레터 등을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구독자 CRM, 세부적인 자동화, 세일즈로 연결 등을 구현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Relate Email 베타 리스트에 등록하시면, 유료 플랜 20% 평생 할인 및 무료 데이터 이관 서비스를 제공드립니다 😀